졸업 동문 주요 활동
직업재활 현장 분야
직업재활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임상경험을 토대로 장애인에게 직업재활 서비스 제공
1) 복지기관 및 장애인단체
- 각종 직업재활 상담기관이나 단체(장애인고용기관, 장애인개발원, 재활협회)
- 장애인복지시설(장애인종합복지관, 거주시설, 직업재활시설 등 재활상담사, 직업평가사, 직업훈련교사)
- 각종 기업체나 직업훈련기관(직업훈련교사 또는 직업상담사)
- LG, SK, 현대, 포스코, 스타벅스 등 표준사업장을 비롯한 사회적 기업
2)정부기관
- 정부산하 직업재활기관(한국장애인고용공단, 근로복지공단- 직업능력평가사 혹은 재활상담사)
3) 교육계
- 직업특수교사(교직이수자 직업특수교사 자격증을 취득, 특수학교에서 직업교사)
직업재활 연구분야
1) 해외유학 및 대학원진학
- 대학원 진학(직업재활 및 재활관련분야)이나 해외유학(독일, 일본, 미국 등)을 통하여 보다 깊은 학문연구를 통해 전문가로서 활동
2) 보건복지부 및 노동부 산하 연구기관
- 보건복지부, 고용노동부, 한국장애인개발원, 한국장애인고용공단, 근로복지공단 연구원 등으로 진출